DI : 의존성 주입 (Dependency Injection)
- 의존성이란,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 없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.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.
- 주입은 말 그대로 밀어 넣는 것이다. 의존성과 주입을 합하면 '어떤 객체가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 넣는' 행위를 의미한다.
- 빌드 자동화 도구인 maven이나 gradle 도 의존성 주입방식을 사용한다
IoC : 제어의 역전 (Inversion of Control)
- 의존성을 관리하는 주체를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. 객체들의 연결을 역전시켜 의존성을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.
'공부 > CS 기초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 / Spring] Entity, DTO, VO (0) | 2023.04.05 |
---|---|
[JAVA / Spring] DDD설계와 SQL중심설계 (0) | 2023.04.05 |
[JAVA 기초] @Override를 사용하는 이유 (0) | 2023.03.29 |
[JAVA 기초] 클래스 메소드와 인스턴스 메소드 (0) | 2023.03.29 |
[JAVA 기초] 인터페이스에 대해 간단하게 (0) | 2023.03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