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공부/CS 기초이론

[Web] URI, URN, URL 구분하기

URI

URI (Uniform Resource Identifier) 는 URL (Uniform Resource Location)과 URN (Uniform Resource Name)의 상위 개념이다.

URI ⊃ URL, URN

 

 

URI 는 HTTP에서 리소스 식별을 위한 것이다.

 

URN 과 URL

URN (Uniform Resource Name)

 

- URN은 특정 네임 스페이스에서 이름으로 리소스를 식별하는 URI이다.

 

예시 :

urn:isbn:{ISBN 숫자} 
urn:uuid:{범용 고유 식별자}

 

인터넷 상에서 어떤 자원을 식별할 때 사용하며,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하고 국제적으로 표준화 되어있다.

 

 

URL (Uniform Resource Location)

URL의 구성

출처 : https://joshua1988.github.io/

 

protocol

- 일반적으로 웹은 http:// , https:// 두가지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
- 파일 전송을 처리하는 ftp: 나, mailto: , file, ssh 같은 스키마도 존재한다.

 

host

- www.example.com 같은 네임스페이스를 관리하는 도메인 이름이나 기관이다.

- IP주소를 직접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.

 

port

- 표준 포트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.

- https의 기본 포트는 443이다. (http는 80번)

ex) https://www.google.comhttps://www.google.com:443 은 같다.

 

resource path

- 과거 웹에서는 웹서버의 물리적인 파일 위치를 나타내었다.

- 요즘에는 웹 서버의 처리를 요청하는 것에 가깝다.

 

query

- 웹 서버에 제공되는 추가적인 변수이다.

- '=' 와 '&'로 조합되어 있다. '='으로 키/값을, '&'로 각 쌍의 목록을 구분한다.

 

fragment

- # 뒤에 붙으며 리소스 그 자체의 다른 부분에 대한 앵커이다.

- 일종의 북마크이며 , 해당 북마크 된 지점으로 스크롤한다.

- 요청과 함께 서버로 전송되지 않는다.

 

 

참고 사이트 :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TP/Basics_of_HTTP/Identifying_resources_on_the_Web

'공부 > CS 기초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 / Spring] DI의 구현 방법  (0) 2023.04.19
[Web] REST API 규칙  (0) 2023.04.14
[Web] REST에 대해 간단 정리  (0) 2023.04.12
[Web] HTTP Method  (0) 2023.04.11
[JAVA / Spring] Controller, Service, Repository  (0) 2023.04.07